세 여인 (1977년 영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 여인(Three Women)은 1977년 로버트 알트만 감독의 영화이다. 캘리포니아 사막의 건강 스파에서 일하는 두 여성의 기묘한 관계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소심한 핑키는 사교적인 밀리에게 매료되어 룸메이트가 되지만, 자살 시도 이후 밀리의 행동을 따라 하며 역할이 뒤바뀐다. 영화는 강박, 정신분열증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평론가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셸리 듀발은 칸 영화제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버트 올트먼 감독 영화 - 플레이어 (1992년 미국 영화)
로버트 알트먼 감독의 영화 《플레이어》는 할리우드 영화사 중역이 작가를 살해하는 이야기를 통해 할리우드 시스템의 모순과 비리를 풍자적으로 드러내며, 수많은 카메오 출연과 함께 작품성과 흥행 면에서 성공을 거둔 블랙 코미디 영화이다. - 로버트 올트먼 감독 영화 - 프레리 홈 컴패니언
《프레리 홈 컴패니언》은 가리슨 킬러의 라디오 프로그램을 원작으로 로버트 올트먼이 감독한 2006년 영화로, 피츠제럴드 극장에서 마지막 방송을 준비하는 라디오 쇼 출연자들의 이야기를 따뜻하고 유머러스하게 그려내어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았으며 메릴 스트립은 여우조연상을 수상했다. - 1977년 영화 - 스타워즈 (영화)
조지 루카스 감독의 1977년작 미국 우주 오페라 영화 《스타워즈》는 은하 제국에 맞서는 반란군과 제다이 기사의 이야기로, 혁신적인 시각 효과와 스토리텔링으로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다양한 후속작을 낳았다. - 1977년 영화 - 공포의 휴가길
1977년 웨스 크레이븐 감독의 영화 《공포의 휴가길》은 휴가를 떠난 카터 가족이 네바다 사막에서 길을 잃고 식인 가족의 공격을 받는 이야기로, 잔혹한 묘사로 비판받았으나 독창성과 긴장감으로 컬트적인 인기를 얻은 공포 영화의 고전이다. - 캘리포니아주를 배경으로 한 영화 - 라스트 사무라이
1876년 메이지 유신 시대 일본을 배경으로, 미국 남북전쟁 참전 용사가 사무라이 문화에 심취하여 그들과 함께 정부에 맞서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 《라스트 사무라이》는 서구 문명과 일본 전통 문화의 충돌, 개인의 성장을 다루며 역사적 고증 및 서사 논쟁을 야기했다. - 캘리포니아주를 배경으로 한 영화 - 자브리스키 포인트
자브리스키 포인트는 1970년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감독이 연출한 영화로, 사회 혼란 속에서 사랑을 나누는 마크와 다리아의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개봉 당시에는 혹평을 받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재평가받았다.
세 여인 (1977년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원제 | 3 Women |
감독 | 로버트 올트먼 |
제작 | 로버트 올트먼 |
각본 | 로버트 올트먼 |
출연 | 셸리 듀발 시시 스페이식 재니스 룰 |
촬영 | 찰스 로셔 주니어 |
편집 | 데니스 힐 |
음악 | 제럴드 버스비 |
스튜디오 | 라이온스 게이트 필름 |
배급사 | 20세기 폭스 |
개봉일 | 1977년 4월 3일 (뉴욕) 1977년 4월 29일 (로스앤젤레스) |
상영 시간 | 124분 |
국가 | 미국 |
언어 | 영어 |
제작비 | 170만 달러 |
![]() |
2. 줄거리
소심하고 어색한 젊은 여성 핑키 로즈는 캘리포니아 사막 마을에 있는 노인들을 위한 건강 스파에서 일하기 시작한다. 그녀는 끊임없이 말을 하는, 사교적이고 자기 중심적인 동료 밀리 래모로에게 매료된다. 뚜렷한 성격 차이에도 불구하고, 핑키와 밀리는 룸메이트가 된다. 핑키는 밀리가 여성 잡지에서 얻은 데이트, 패션, 요리 및 실내 장식에 대한 조언을 즐기는 유일한 사람이다.[1]
밀리의 예전 룸메이트가 밀리가 많은 노력과 시간을 투자한 저녁 식사 계획을 취소한 후 밀리와 핑키 사이에 긴장이 시작된다. 핑키가 자신의 사회생활을 방해하고 있다고 생각하며 화가 난 밀리는 그녀에게 소리 지르고 아파트에서 나가라고 제안한다. 당황한 핑키는 아파트 발코니에서 수영장으로 뛰어내려 자살 시도를 한다.[1]
핑키는 자살 시도에서 살아남았지만 혼수상태에 빠진다. 핑키가 깨어났을 때, 그녀는 부모를 알아보지 못하고 떠나라고 격렬하게 요구한다. 다시 밀리와 함께 살기 위해 집에 돌아온 핑키는 밀리의 행동을 따라한다. 술을 마시고 담배를 피우고, 에드거와 잠자리를 하고, 도지 시티에서 총을 쏘는 등, 그리고 두 여성의 본명인 밀드레드라고 불릴 것을 요구한다.[1]
밀리는 핑키의 모방적인 성격 변화에 점점 더 좌절감을 느끼고 핑키의 소심하고 복종적인 성격을 드러내기 시작한다. 윌리는 거의 말을 하지 않고 충격적이고 불안한 벽화를 그리는 임신한 여성이다. 아기는 에드거가 아내를 버리고 밀리가 시키는 대로 핑키가 의료 지원을 요청하지 못했기에 사산된다.[1]
나중에 핑키와 밀리는 도지 시티에서 일하고 있으며, 다시 역할을 바꿨다. 핑키는 아이 같은 소심함으로 돌아가 밀리를 어머니라고 부르고, 밀리는 윌리의 화장과 복장을 흉내 내면서 술집을 운영하는 윌리의 역할을 맡았다. 술집의 배달업자는 밀리에게 말하면서 에드거가 "총기 사고"로 사망했다고 언급하고, 밀리는 에드거의 살인에 세 여성이 공모했음을 암시하는 뻔뻔하고 공허한 대답을 한다.[1]
3. 등장인물
3. 1. 주요 등장인물
3. 2. 조연
4. 제작
- 미술: 제임스 도웰 밴스
- 보조 프로듀서(Ass-PD): 스콧 버쉬넬, 로버트 에겐윌러
4. 1. 기획

로버트 알트만 감독은 아내가 병원에 입원했을 때 아내가 죽을까 봐 두려워하며 영화 ''세 여인''의 아이디어를 떠올렸다.[2] 그는 잠 못 이루는 밤, 셸리 듀벌과 시시 스페이섹이 신분 도용을 소재로 사막을 배경으로 영화를 찍는 꿈을 꿨다.[2] 그는 꿈에서 깨어나 메모장에 적어두고 다시 잠들었는데, 더 많은 세부 사항을 얻었다.
잠에서 깨어난 알트만은 그 꿈이 완벽한 줄거리를 제공하지는 않았지만, 영화를 만들고 싶어 했다. 그는 작가 패트리샤 레스닉과 상의하여 50페이지 분량의 트리트먼트를 개발했는데, 처음에는 정식 시나리오를 쓸 의도가 없었다.[2] 잉마르 베르히만의 1966년 영화 ''페르소나'' 또한 이 영화에 영향을 미쳤다.[3]
알트만은 20세기 폭스로부터 승인을 받았는데, 20세기 폭스는 그의 1970년 영화 ''MASH''의 성공을 바탕으로 이 프로젝트를 지원했다.[2] 스튜디오 매니저 앨런 래드 주니어 또한 이 스토리 아이디어를 흥미롭게 여겼고, 알트만이 과거 영화에서 일관되게 예산 내에서 작업했다는 점을 존중했는데, 이는 알트만의 1980년 영화 ''뽀빠이''가 초기에 승인된 예산을 상당히 초과하기 전의 일이었다.
4. 2. 촬영

이 영화는 아파트 장면을 포함하여 캘리포니아주 팜 스프링스와 캘리포니아주 데저트 핫 스프링스에서 촬영되었다.[2] 각본이 완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배우 듀발과 스페이섹은 특히 듀발의 어리석은 횡설수설과 데이트에 대한 조언 등에서 많은 즉흥 연기를 사용했다.[2] 알트만은 듀발이 자신의 캐릭터의 요리법과 일기를 직접 작성했다고 언급했다.[4]
윌리의 그림을 위해 영화 제작진은 실제 이름이 찰스 쿡리스인 화가 보디 윈드를 고용했다. 촬영 감독인 찰스 로셔 주니어는 캘리포니아 사막의 강렬한 햇빛을 활용했다.
한 장면을 촬영하는 동안 듀발의 치마가 자동차 문에 걸리는 사고가 발생했다. 조감독 토미 톰슨은 컷을 외쳤다. 하지만 알트만은 이 사고를 "좋아한다"며 듀발에게 여러 장면에서 의도적으로 치마가 문에 걸리게 했다.
5. 해석
이 영화는 강박, 정신분열증, 인격 장애와 같은 다양한 주제를 다루는 것으로 해석된다.[3] 프랭크 카소는 이 영화를 알트만의 이전 영화인 ''공원에서 보낸 차가운 날''(1969)과 ''이미지''(1972)와 연결하여 삼부작이라고 칭했다.[3]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영화 속 세 여성은 한 사람의 정신을 나타내는 세 가지 측면으로 해석될 수 있다. 핑키는 아이, 밀리는 성적으로 각성한 젊은 여성, 윌리는 어머니의 모습을 상징한다.[4][5] 혼수상태에서 깨어난 핑키가 밀리로 변하고, 밀리가 핑키에게 더욱 어머니 같은 존재가 되었다는 해석도 있다.[6]
영화의 배경인 캘리포니아 사막은 "죽음의 공간이면서 동시에 창조의 공간"으로, 영화의 주제를 상징적으로 드러낸다.[7]
6. 평가
영화 《세 여인》은 비평가들에게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여러 시상식에서 수상하거나 후보에 올랐다. 특히 셸리 듀벌은 이 영화에서의 연기로 칸 영화제 여우주연상을 수상하고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여우주연상 후보에 오르는 등 주목받았다.
6. 1. 비평
영화 《세 여인》은 평론가들로부터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6] 리뷰 애그리게이터 웹사이트 로튼 토마토에서는 54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83%의 신선도 지수를 기록했으며, "1970년대 후반 여성상을 기괴하고 기묘하게 묘사하며 모든 기대를 뒤엎고 거스르는 작품"이라는 평가를 받았다.[6] 메타크리틱에서는 5명의 평론가 점수를 기준으로 100점 만점에 82점을 부여하여 "보편적인 찬사"를 받았음을 나타냈다.[7]로저 이버트는 영화에 별 4개를 주면서, 전반부는 "재밌고, 풍자적이며, 때로는 슬픈 공동체와 그 사람들에 대한 연구"라고 칭찬했고, 후반부는 "가면을 쓴 성적 공포"로 변한다고 평가했다.[8] 2004년에는 자신의 '위대한 영화' 목록에 이 영화를 추가하며 "로버트 올트먼의 1977년 걸작"이라 칭하고, 셸리 듀벌의 표정을 "불안함에 대한 연구"라고 묘사했다.[3] 빈센트 캔비는 뉴욕 타임스에 기고한 글에서 영화를 "재밌고 감동적인" 작품이라 칭하며, 듀벌이 연기한 밀리를 "올트먼이 우리에게 선사한 가장 기억에 남는 캐릭터 중 하나"라고 극찬했다.[5] 마이클 스래고는 뉴요커에 기고한 글에서 "로버트 올트먼의 작품 중에서 이 1977년의 환상극보다 더 기이하고 매혹적인 작품은 없다"고 언급하며, "은유적 구조를 초월할 정도로 풍부한 이미지들로 가득하다"고 듀벌의 연기를 칭찬했다.[9] 몰리 하스켈은 뉴욕에서 이 영화를 그 해 최고의 영화 중 두 번째로 꼽으며, "야심차고, 허세 부리고, 부드럽고, 어리석고, 매혹적이다"라고 평가했다.
반면, 텍사스 먼슬리의 평론가 마리 브레너와 제시 콘블루스는 올트먼이 "미국 베르히만"이 되려는 열망이 있었을 것이라 추측하며, 《세 여인》을 "베르히만의 《페르소나》에 필적하려는 시도"라고 평가했다.[11] 이들은 듀벌의 "특별한 연기"는 칭찬했지만, 후반부의 다큐멘터리 스타일은 아쉽다고 평가했다.[12]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의 찰스 챔플린은 "증명할 필요는 없었지만, 《세 여인》을 통해 로버트 올트먼이 가장 유창하고 상상력이 풍부하며 개성적이고 마법적인 영화 제작자 중 한 명이라는 것을 다시 확인할 수 있었다"고 썼다.[13] 진 시스켈은 영화에 별 4개 중 2개 반을 주면서 두 번이나 봤지만 여전히 이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세 여인》의 궁극적인 의미는 작가 겸 감독인 올트먼만이 알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하며, "영화의 마지막 시퀀스에서 흥미를 유지할 만한 충분한 실마리를 찾지 못했다"고 덧붙였다.[14]
6. 2. 수상
시상식 | 날짜 | 부문 | 후보 | 결과 | |
---|---|---|---|---|---|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 1978년 3월 16일 | 여우주연상 | 셸리 듀벌 | 후보 | [15] |
칸 영화제 | 1977년 5월 13일 – 27일 | 황금종려상 | 로버트 올트먼 | 후보 | [16] |
여우주연상 | 셸리 듀벌 | 수상 | [16] | ||
로스앤젤레스 영화 비평가 협회상 | 1977년 12월 19일 | 여우주연상 | 셸리 듀벌 | 수상 | [17] |
전미 비평가 협회상 | 1977년 12월 19일 | 여우주연상 | 셸리 듀벌 | 2위 | [18] |
여우조연상 | 시시 스페이섹 | 2위 | [18] | ||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상 | 1978년 1월 29일 | 여우주연상 | 셸리 듀벌 | 2위 | [19] |
여우조연상 | 시시 스페이섹 | 수상 | [19] |
참조
[1]
뉴스
A Dream Movie From Altman
1976-09-08
[2]
웹사이트
3 Women: Dream Project
https://www.criterio[...]
2016-11-21
[3]
웹사이트
3 Women
http://www.rogereber[...]
2016-11-19
[4]
비디오
Robert Altman's 3 Women
The Criterion Collection
2004
[5]
웹사이트
Altman's '3 Women' a Moving Film; Shelley Duvall in Memorable Role
https://www.nytimes.[...]
2016-11-21
[6]
웹사이트
3 Women (1977)
https://www.rottento[...]
2024-12-03
[7]
웹사이트
3 Women
https://www.metacrit[...]
2024-03-25
[8]
웹사이트
3 Women
http://www.rogereber[...]
2016-11-21
[9]
간행물
3 Women
http://www.newyorker[...]
2016-11-21
[10]
간행물
Choice and Prime
1977-12-26
[11]
간행물
Altman Stays Serious
1977-06
[12]
간행물
Altman Stays Serious
1977-06
[13]
뉴스
Altman Magic in '3 Women'
1977-04-27
[14]
뉴스
'Three Women': What's the meaning of this, Mr. Altman?
1977-06-14
[15]
웹사이트
Actress in 1978
http://awards.bafta.[...]
2016-11-21
[16]
웹사이트
Festival de Cannes: A Child in the Crowd
https://web.archive.[...]
2009-05-10
[17]
웹사이트
Los Angeles Film Critics Association Awards (1977)
https://www.imdb.com[...]
[18]
뉴스
'Annie Hall' Picked as Best of '77 By National Film Critics Society
https://www.nytimes.[...]
2018-01-03
[19]
뉴스
Critics' Circle Picks 'Annie Hall'
https://www.nytimes.[...]
2017-12-29
[20]
웹사이트
Film/DVD; '3 Women' Coming of Age At 27
https://www.nytimes.[...]
2016-11-22
[21]
웹사이트
3 Women
http://www.slantmaga[...]
2016-11-22
[22]
뉴스
A Dream Movie From Altman
1976-09-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